본문 바로가기
1953년 열한번째 식물이야기 : 식물의 파트너 곰팡이 열번째 이야기에서 곰팡이의 기본적인 성질과 해로운 곰팡이 등에 대해 다뤘다. 앞서 언급했듯이 곰팡이는 어디서나 존재한다. 곰팡이의 포자는 집이나 사무실 등의 먼지에서 흔히 마주할 수 있다. 대량으로 존재하거나 또 어떤 곰팡이는 생물체에게 위험을 초래 할 수 있다. 그럼에도 곰팡이의 특이한 번식 방법 등으로 인해 인류의 역사에서 곰팡이는 다른 발견을 하게 해 주었고 어떤 것들은 동식물의 파트너로 인식하게 활용되었다. 이러한 점들은 발견된 것 이상의 가치를 지닌다고 판단하여 과학자들은 곰팡이 연구를 지속하고 있다. 일상생활에서 흔하게 만나는 곰팡이는 식품이나 가죽 제품에 생기는 것들과 된장, 술, 고추장 등을 만드는 데 꼭 필요한 누룩 곰팡이, 효모균 정도이다. 이는 자연에서 존재하는 곰팡이 종류에 비하면 .. 2023. 1. 10.
1953년 열번째 식물이야기 : 곰팡이는 식물의 적인가 장마철 습도가 높거나, 배수나 환기가 잘 안되는 토양에서 식물을 키울 때 보면 흙에 곰팡이가 낀 것을 종종 볼 수 있다. 사람이 날씨의 영향을 받는 것 처럼 식물도 온도와 습도에 매우 민감하다. 화분으로 식물을 키울 때도 물을 줄 때 문득 흙의 상태가 이상한 것을 보기도 한다. 식물에 물을 주는 방법으로 흔히 말하는 것이 겉흙이 완전히 마르면 충분히 주라고 한다. 이는 배수와 통풍이 잘 되는 상황을 전제하고 있으며 날씨 혹은 과습, 배수가 잘 안되는 화분 사용 등으로 인해 겉흙이 잘 마르지 않고 항상 습하며 통풍도 잘 안되면 곰팡이가 생기게 된다. 따라서 장마철 식물 곰팡이는 예방하기 위해서는 햇볕이 강한 여름철 보다 물을 자주 주면 안된다. 습도도 조절해 줘야 하며 수시로 환기를 시켜주거나 통풍이 잘되.. 2023. 1. 10.
1953년 아홉번째 식물이야기 : 박테리아에 관하여 질소를 만드는 박테리아 질소(Nitrogen)는 지구 대기에서 약 80%를 차지하는 무색, 무취, 무미 기체이며 불연성 가스이다. 활성이 안되는 특성때문에 공기를 대체하는 등 가치가 매우 높고 물질의 산화를 줄이거나 없앨 수 있다. 대기를 차지 하는 것 중에서 비중이 가장 높아서 모든 생명체의 구성요소이기도 하다. 질소는 단백질을 구성하는 중요한 원소지만 호흡을 통해 체내 유입이 안된다. 따라서 질소를 흡수시키기 위해서는 대부분의 토양 속에 질소를 고정시키며 있는 뿌리혹 박테리아가 필요하다. 이 박테리아를 통해 식물에 질소가 흡수되고 단백질 등의 영양분으로 사용되며 연쇄과정을 통해 질소의 순환이 이루어 지게 되는 것이다. 질소는 식물의 전체 부분에서 대량으로 흡수되는 성분이며 매우 중요한 유기화합물 구성.. 2022. 12. 28.
1953년 여덟번째 식물이야기 : 과일과 식물 종류 식물 과일의 종류 ㅣ Plants have many kinds of fruit 과학자들은 과일을 식물 씨앗을 갖고있는 저장고라고 말한다. 콩깍지는 과일의 한 종류이다. 어떤 씨앗은 부드럽고 육질이 많은 벽으로 둘러싸였는데 이를 베리(berries)라고 한다. 토마토도 베리류이고 포도도 마찬가지다. 블랙베리는 수 많은 작은 열매가 결합되어 함께 더 큰 열매를 맺는다. 오이는 단단한 껍질을 가진 베리류다. 너트는 단단하고 씨가 하나인 과일이다. 사과, 배, 모과는 이과(梨果) 라고 불리는 다육질의 과일이다다. 양귀비 열매는 건조한 껍질이 바람에 흔들리면 씨앗을 땅에 뿌린다. 오렌지는 껍질이 가죽 같은 열매다. 더하는 이야기 : 주위에서 쉽게 접하고 섭취하는 과일은 먹고 난 후에 씨앗을 잘 모아서 식물로 재배.. 2022. 12. 26.
1953년 일곱번째 식물이야기 : 씨앗의 이동과 발아 씨앗 이동 방법ㅣSome of the ways seeds travel 1) 린덴(linden) 또는 참피나무(basswood) 나무들은 글라이더가 달린 씨앗을 가지고 있고, 이 글라이더가 그들을 공중으로 운반한다. 2) 봉선화(jewel weeds) 또는 봉선화속들은 새총이 내장되어 있다. 씨앗이 익으면 씨앗을 담고 있던 캡슐이 폭발하며 밖으로 씨앗을 쏜다. 3) 해안에서 주로 자라는 코코넛은 두껍고 방수가 되는 껍질을 가지고 있으며 먼 거리를 위해서 물에 뜬다. 4) 물총 오이(quirting cucumbers, 열매가 터져서 씨가 나옴)는 씨앗을 퍼뜨리기 위한 분출하는 총이 있다. 5) 꽈리(Ground cherries)는 공기 풍선으로 밀봉되어 바람에 쉽게 흩어진다. 6) 회전초(Tumbleweed.. 2022. 12. 22.
1953년 여섯번째 식물이야기 : 식물과 꽃가루 꽃가루 살포 방법 ㅣ Some ways of spreading pollen 천남성류(jack-in-the-pulpit)의 꽃은 두꺼운 기둥의 바닥 근처에 모여 있다. 불염포(spathe, 넓은 잎 모양의 포)라고하는 돌출 된 방패인데 작은 각다귀가 미끄러운 내부 벽과 기둥을 타고 내려가서 그 바닥에 있는 꽃과 꽃가루에 방해가 되는 것을 방지한다. 선반은 그들이 같은 방식으로 돌아가는 것을 막는다. 각다귀는 꽃가루 속을 기어다니다가 겹치는 면에서 틈을 발견하고 꽃가루를 다른 꽃으로 옮기기 위해 떠난다. 보랏빛의 쥐방울 꽃(dutchman’s pipe flowers)은 높이 날아가는 벌과 나비가 볼 수 없는 큰 잎의 아래에 숨겨져 있다. 이때 낮게 날아다니는 각다귀랑 파리가 들어오는 데 꽃을 향하고 있는 털.. 2022. 12. 21.
1953년 다섯번째 식물이야기 : 꿀벌과 식물 꿀벌이 식물을 돕는 방법 ㅣ How bees help 모든 꽃이 단순히 만들어지는 것은 아니다. 어떤 것들은 매우 복잡하다. 어떤 것에는 한 꽃에 수술과 암술이 있습니다. 또 다른 것에는 수술이 있습니다. 같은 식물의 다른 꽃에 암술이 있고 일부는 심지어 한 식물에는 암꽃이 있고 다른 식물에는 수꽃이 있다. 이 모든 꽃의 수술에서 나온 꽃가루는 같은 종류의 다른 꽃의 암술로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한 곳에서 있는 꽃은 이부분에서 외부의 도움을 받아야 한한다. 많은 식물은 꽃가루를 운반하기 위해 곤충에 의존한다. 꿀벌은 이들의 가장 큰 도우미다. 꿀벌이 꿀을 만들기 위해서는 많은 꽃이 가지고 있는 감로라고 불리는 달콤한 액체가 필요하고, 약간의 꽃가루와 꿀을 혼합하여 음식으로 어린 벌들을 위한 "꿀벌 빵"을.. 2022. 12. 21.
1953년 네번째 식물이야기 : 다양한 잎과 에너지 얻는 방법 잎의 다양한 모양과 크기 ㅣ Leaves have many shapes and sizes 1) 소나무와 다른 많은 상록수에는 왁스로 덮인 바늘 모양의 잎이 있다. 이와 같은 잎은 길고 얼어붙은 겨울 동안 물을 많이 잃지 않는다. 2) 박쥐란은 열대 나무줄기에서 자란다. 바닥의 ​​둥근 잎은 흙과 물을 모으기 위해 적합하다. 3) 선인장 잎은 동물들이 탐색하는 것으로부터 식물을 보호하기 위해 가시로 대체되었다. 4) 수중 히아신스 잎은 부표와 같은 줄기에서 자라며 식물을 물에 띄워준다. 5) 정원 완두콩과 기타 덩굴식물의 잎 중 일부는 식물을 지지대에 고정하는 데 도움이 되는 덩굴손으로 변했다. 6) 남방 나무에서 자라는 스페인 이끼는 뿌리가 없지만 가느다란 잎과 줄기의 비늘이 수분을 빨아들인다. 7) 석.. 2022. 12. 19.
1953년 세번째 식물이야기 : 식물의 영양분 수송 관로 공기 ㅣ From the air 잎은 주변 공기로부터 이산화탄소를 얻는다. 그것들은 아주 작은 구멍으로 가득차 있는데, 너무 작아서 잎사귀 표면의 1제곱인치당 평균 125,000개의 구멍이 있다. 이러한 개구부는 '입'을 의미하는 그리스어 단어에서 기공이라고 한다. 이 기공을 통해 가스가 잎으로 들어오고 나간다. 잎 안에는 작은 복도와 같은 공기 공간들이 있는데, 이산화탄소가 영양분을 만드는 세포로 거나 여분의 산소가 들어오는 공간이다. 아래에 있는 첫번째 사진은 '기공들(stomata)'의 아랫면 모습이다. 두번째 사진은 '기공(stoma)'의 단면도이며 기공들 중에 한개의 입구를 기공이라고 한다. 기공과 공기실이 열린 것을 볼 수 있다. 세번째 사진은 잎의 단면도로 아랫면 모습이다. 땅ㅣ From t.. 2022. 12. 19.